중국 정부가 전기차 등 신 에너지 자동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화재나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했다. 24시간 서비스 센터 도입 및 화재 발생 시 1일 내 당국 보고 등 여러 조치를 포함한다. 전기차 보급 및 산업 확장을 서두르는 중국에게 있어 전기차 발화사고는 소비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대책 강화에 나선 이유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 지난 2018년에는 전기차 등 신에너지 자동차 125만 대가 팔렸다. 이는 2017년 대비 6% 이상 늘어난 수준. 전기차 시장을 키워 산업 규모를 같이 키우려는 이들의 전략은 분명하다. 하지만 올해 4월은 중국 전기차 산업에 악재가 찾아온 것처럼 전기차의 발화 사건이 잦았다. 

4월 21일에는 테슬라 모델 S가 상하이 시내 주차장에서 발화해 전소되는 사고가 중국 언론에 올랐고, 22일에는 니오(NIO)의 ES8이 서비스 센터에서 수리 중 발화했다. 24일에는 BYD 전기 택시가 과속 차량과 충돌하면서 발화했다. BYD는 “사고 당시 배터리 셀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지만, 충격으로 인한 배터리나 전원 회로 손상 등의 가능성이 제기된 상태다. 


서로 다른 회사의 전기차들이 원인은 다르지만 비슷한 시일에 연속으로 발화 사고를 겪자, 전기차를 바라보는 중국 소비자들에게는 위협처럼 느껴졌을 것이다. 특히 중국 정부 입장에선 난처하게 됐다. 기존에도 자동차 제조사에 ‘안전을 위한 노력’을 당부해왔다고 주장하는 이들이지만, 이번에는 구체적인 안건을 들어 요구해왔다. 

중국 정부의 발화사고 대책의 내용 중에는 24시간 고장 접수 서비스 센터 설치, 발화사고 발생 시 1일 이내 당국에 보고, 대리점 등에 소화기를 비치하는 등 발화사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상태 구축,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배터리 이상 징후 발견 시 고객에게 즉각 연락해 점검과 수리를 진행하는 등의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 협회에 따르면, 현재 2018년 말의 신 에너지 자동차 등록대수는 261만 대에 달했고, 2018년에 보고된 발화사고는 40건이었다. 261만 대 중 40건이라니, 발화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6만 5,250분의 1이다. 하지만 자동차는 인간을 태우고 달리는 물건이기에 언제나 안전해야만 한다. 중국 정부의 이번 대처 후 전기차 발화사고가 어떤 국면에 접어들지 참고해야 할 이유다. 


※ 전기차 화재, 아직은 물을 뿌려야 한다

4월 4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전기차 배터리팩 화재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한 전기차 배터리 실증 분석을 실시했다.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에 실제로 불을 붙여 진행한 이번 시험에서는 차량용 분말‧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일시적인 화재 억제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금속 화재에서 금기시 되는 물이 오히려 가장 뛰어난 소화 적응성을 보였다. 

글 안민희 기자(minhee@drivestory.co.kr)

사진 셔터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