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새로운 전기차 정책을 밝혔다. 보조금을 대폭 늘려 3년간 총 1,000억 루피(약 1조 6,450억 원)를 전기 모터사이클, 전기 3륜 택시, 전기 버스 등에 내어줄 예정이다. 그만큼 규모도 크다. 보급 목표는 버스 7,000대, 3륜 택시 50만 대, 모터사이클 100만 대. 승용차 시장은 자가용 대신 택시 등 상업용 차에 5만 5,000대를 배정했다.




이는 인도의 도로 및 경제 환경에 기인한 부분이다. 인도의 1인 평균소득은 2,000달러(약 226만 원) 정도다. 자동차 판매 대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지만 아직 서민 대부분은 모터사이클을 탄다. 지난 해 인도에서는 220만 대의 자동차가 팔렸다. 그런데 모터사이클은 2,160만 대가 팔렸다. 모터사이클만 전기로 바꿔도 환경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셈이다. 




인도에게 있어 전기 모터사이클 보급은 전기차 및 공유경제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 심각한 교통난에 맞춰 도심에서 전기 스쿠터의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 교통난 해소에 일조할 수 있으며, 충전소 등 주요 인프라는 전기차 대량 보급 시대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평균소득의 상승이 자동차 판매량 증가로 이어질 테니 미리 판을 짜둘 필요가 있다. 




한편 인도 산업계는 새로운 전기차 보조금 제도의 시행에 따라 관련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파이낸셜 타임즈>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내놓았다. “인도의 경우 과밀도 상황의 도심에 충전소를 여럿 짓기란 어렵다. 따라서 배터리 교환 형식의 시스템 구축안이 유력하다. 전기 모터사이클을 도입하는데 따른 인프라 구축이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인프라 구축 외에도 다른 숙제가 있다. 일반 모터사이클과의 가격 차이를 좁히거나 전기 모터사이클을 타는 것이 경제적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더불어 인도 현지 기업들의 경우 모터와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의 원활한 수급이 중요해진다. 제조 품질과 기술력 모두 갖춘 국내 모터, 배터리 전문 기업들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되리란 기대가 든다. 


한편, 전기 모터사이클 외에도 전기 상용차 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 택시, 상용차 등 이동 사업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차에 대한 지원금이 늘어나면서 해당 분야의 배터리 및 모터 수요가 높아질 전망. 마힌드라의 파완 고엔카 사장은 “인도 시장에서 전기 상용차 시장 개척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 타임즈>에 따르면 마힌드라는 전기 상용차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전기차는 운용비용이 낮은 대신 가격은 높기에 자가용 운전자보다 장거리 운행을 주로 하는 상용차 운전자에게 더 유리하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상용차는 일정 경로를 주로 달린다. 화물 터미널에 충전소를 설치하면 인프라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드는 생각이 있다. 전기 상용차는 무거운 짐을 싣고 먼 거리를 달려야 한다. 효율이 뛰어난 배터리와 강력한 모터가 필요하다. 이는 한국 기업의 특기다. 인도의 새로운 전기차 정책이 우리의 호재가 될 수 있을까?

글 안민희 기자(minhee@drivestory.co.kr)

사진 셔터스톡, 고고로, 마힌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