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유럽연합)이 자동차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 감소를 위한 새로운 목표를 제시했다. 2030년에는 2021년의 95g/㎞ 대비 37.5%를 줄인 약 60g/㎞로 평균배출량을 낮추고, 더 나아가 2050년에는 온실가스 없는 유럽을 만들 계획이다. 향후 10년 간 자동차 산업의 변화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EU는 2021년까지 자동차 제조사당 평균 CO₂ 배출량을 95g/㎞ 이하로 맞출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달성까지 갈 길은 멀다. 국제 청정 교통위원회(ICCT)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자동차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19g/㎞에 그쳤다. 이를 4년 내 21% 가까이 줄인다는 것은 전동화(Electrification) 모델 없이는 상상하기 어렵다.




2030년에는 약 60g/㎞ 수준에 맞춰야 한다. 따라서 전기만으로 일정거리 주행이 가능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모델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단기 처방이다. 2030~2040년 사이 EU가 엔진차 퇴출을 시작하면 배터리 전기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만 팔 수 있어서다. 




EU는 유럽 전체에서 37.5%를 절감할 계획이며 이는 파리 협정(2015년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 채택된 조약. 각국은 직접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해 밝히고 실천해야 한다)에 따른 것으로,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0%의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EU 위원회는 올해 11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완전 감소라는 새로운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어디까지나 미래를 향한 목표다. 강도 높은 변혁이 필요하다. 일례로 2017년 유럽 자동차 판매량을 살펴보면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점유율은 둘을 합쳐 1.4%에 불과하다. 소비자들이 전기차에 커다란 매력을 느끼지 못해서가 아닐까? 성능 개선, 충전 시설 확대 등이 따라줘야 한다. 




물론 EU의 2030년, 2050년 계획이 정식으로 결정된 사항은 아니다. 아직 이사회와 의회의 승인이 남아있다. 그러나 실행될 가능성은 분명 있다. EU 국가 중에서는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스페인이 2030~2040년 사이에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 금지 계획을 밝혔다. 점점 엔진이 발붙이기 어려운 사회가 되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엔진을 포기할 수는 없다. 친환경 엔진 개발은 계속 되어야 한다. 계속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어서다. 가령 전기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엔진차의 수요가 높을 수밖에 없다. 자동차 제조사들에겐 EU의 움직임에 빠르게 발맞추는 동시에, 세계 시장의 필요를 모두 반영해야 한다는 어려운 임무가 남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전기차의 대량 보급 시대와 함께 에너지 확보 및 인프라 확대라는 숙제를 EU가 어떻게 풀어내는지, 우리가 참고할 부분은 무엇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글 안민희 기자(minhee@drivestory.co.kr)

사진 셔터스톡, BMW, 혼다, 닛산